유아 한글2 언어교육접근법2: 총체적 접근법 제2절. 총체적 접근법 총체적 접근법은 하나의 교수법이라기보다는 유아의 발달, 학습 방식 그리고 언어 습득의 특성과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언어교육에 대한 교육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총체적 접근법은 해독 기술을 강조하는 발음 중심 접근법과 상반되게 의미구성 중심의 읽기 학습을 강조한다. 총체적 접근법의 배경에는 학습에 있어서 유아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한 피아제의 이론, 근접발달영역 내에서의 비계설정을 통한 발달을 강조한 비고츠키 이론, 그리고 읽기를 단순한 글자 해독이 아닌 글에 대한 개인의 의미 창출 과정으로 보는 읽기 기론이기운이 있다. 총체적 접근법의 주창자들은 어린 유아들이라 할지라도 적절한 환경과 지원이 제공된다면 스스로 그리고 주도적으로 읽기를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읽기 학습의.. 2025. 4. 22. 언어교육접근법 제1절. 발음 중심 접근법 1. 정의 및 특성 발음 중심 접근법은 읽기 학습 초기에 글자와 소리와의 관계, 즉 글자 기호를 해독하는 기술을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접근법이다. 자모음 낱글자와 소리의 관계에 대한 학습을 강조하며 부호 중심 교수법으로도 불린다. 발음 중심 접근법은 행동주의 심리학에 이론적 근거를 둔 전통적 읽기 교수법으로 읽기 학습이 문자 해독 기술 습득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발음 중심 접근법은 상향식 읽기 모형이 기반한다. 즉 읽기는 언어의 낮은 단위인 글자와 단어의 형태에서부터 출발해서 점차 큰 단위인 문장, 문단, 텍스트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상향식 읽기 모형 이론에 영향을 받아 발음 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읽기 교육은 자음과 모음, 자모 결합, 받침.. 2025. 4.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