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발달2 정서발달과 정서지능2: 정서에 대한 역사적 관점 * 정서의 본질에 대해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초기에는 정서가 이성과 상반되는 개념이자 이성에 종속적인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이성과 동등한 입장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정서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럼, 정서에 관한 역사적 관점은 어떠한 변천사가 있는지 살펴볼까요? 1) 이성과 정서의 관계 그리스 시대의 소토아 학파는 질적인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 정서가 담당하는 역할에 관심을 가졌다. 이들은 현자란 정서와 감정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주장하였고, 이는 이후 유태교나 기독교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결과 서구 사상에서는 강한 반정서적 분위가 형성되었다. 이성이 우세하던 서구역사 전반에 걸쳐, 감성이 지나친 사.. 2025. 7. 8. 정서발달과 정서지능1 * 정서란 무엇일까요? 정서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서상태나 정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당히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는 자신이 느끼는 행복이나 슬픔, 좌절감, 분노가 무엇을 의미하며, 이를 뷰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막상 정서가 무엇인가를 물어보면 명확한 답변을 하기 어렵다. 정서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답하기 어려운 이유는 정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기 때문이다. 이성과 정서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주종관계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정서를 이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논의해온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또한, 정서는 다차원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2025. 7. 7. 이전 1 다음